Business Model 2

트위터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가벼운 분석

이번 주 화요일(13일), 트위터의 공동 창업자인 비즈 스톤(@biz)은 블로그를 통해 트위터를 광고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Promoted Tweets)을 소개 했습니다. 그리고, 트위터 개발자 컨퍼런스(Chirp Day)에서도 관련된 내용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요. 언론에서 발표한 기사에서는 그런 내용이 없지만 현지에서 컨퍼런스에 참석한 저희 대표님(@bskim)의 중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해쉬태그인 #chirp_kr를 클릭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promoted tweet'은 광고가 아니라고 주장. 기업이 하는 기존 트윗을 공명하게끔 도와주는 시스템' 또, Ollehkt의 중계에 따르면 "Promoted tweet 은 광고가 아니라 기업 등이 보여주고 ..

Business Model 2010.05.05

Enswer.me와 파괴적 혁신

이전 글 : Enswer.me에 대한 오해와 동영상 서비스 이 글을 읽기전에 이전 포스트를 보시고, 이 글을 보셔야 이해가 빠를 수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경영서중에는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가 쓴 '성장과 혁신'이란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기업들이 겪고 있는 혁신에 대한 혼란과 정체의 원인을 날카롭게 규명해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혁신의 전략적 지향점을 뚜렷하게 해명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혁신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는 책인데요. 이 책에서는 혁신을 “존속적 혁신”과 “파괴적 혁신” 두 가지로 분류하고, 전자는 현실의 밥벌이를 더 낫게 만드는 혁신, 후자는 미래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혁신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가 왜 이 얘기를 꺼냈는지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Business Model 2008.11.23